• 언어 평가

아동 연령 및 수준에 따라 평가 항목은 상이합니다.

평가를 통해 언어지연 및 장애를 조기에 발견하게 됩니다.

아동의 현행수준 및 잠재력과 언어적 강약점을 파악합니다.

평가 결과를 토대로 아동에 맞는 치료 목표를 세우고 교육이 실시됩니다.

치료 전/후의 발달 수준을 비교하여 진전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객관적 자료가 됩니다.


언어 검사 항목


1. 언어발달검사

   - SELSI 영유아언어발달검사: 5개월 ~ 36개월 사이 영유아의 언어발달 정도를 평가

   - 양육자,아동 상호작용을 통한 의사소통 기능 평가: 양육자와 아동의 자유놀이를 통해 아동의 초기의사소통기능 및 상징놀이수준을 평가

   - REVT 수용표현어휘력검사: 2세 6개월 ~ 16세 아동의 수용 및 표현 어휘력을 측정하는 평가

   - PRES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척도: 2세 ~ 6세의 취학 전 아동의 수용 언어 및 표현언어의 전반적인 언어발달평가

   - 구문의미이해력검사: 4세 ~ 9세 아동의 구문의미 이해 능력을 평가

   - 언어문제해결력검사: 5세 ~ 12세 아동의 논리적 사고 과정 언어화하는 상위언어기술 평가

 

2. 조음음운검사(발음검사)

   - U-TAP 우리말 조음음운 검사: 자음과 모음 말소리에 문제를 보이는 만2세 이상 아동의 발음을 단어 및 문장수준에서 체계적으로 평가

 

3. 유창성검사(말더듬검사)

   - P-FA 유창성 검사: 취학 전 아동과 초등학생, 중학생이상의 유창성 문제를 종합적인 측면에서 평가

 

4. 학령기 검사

   - LSSC 학령기 아동언어검사: 초등학생(만7세 ~ 12세)의 언어능력을 검사하여 전반적인 언어수행 능력을 평가

 

5. 읽기검사(난독증검사)

   - KOLRA 한국어 읽기검사: 초등학교 1학년 ~ 6학년 아동들의 전반적인 읽기 능력을 평가